티스토리 뷰
목차
혹시 실업급여 금액, 아직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셨나요?
실업급여는 내 월급과 구직 기간에 따라 받는 금액이 크게 달라지고,
정확한 금액을 알아야 생활 계획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과연 얼마일까?”
사실 이런 불안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저도 주위에서 “나는 얼마 받지?”라는 질문을 정말 자주 듣습니다.
퇴직 직후 생활비, 보험료, 대출 이자까지 부담스러운 분들이 많으니까요.
그럴수록 정확히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다행히도 실업급여는 누구나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공식 계산식을 발표하고 있으니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지금부터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실업급여 계산 공식은 이렇게 됩니다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가 기준입니다.
여기서 평균임금이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을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일 실업급여 = 평균임금 × 60%
단, 상한액·하한액 범위 내에서 지급됨
2025년 기준으로 정해진 상·하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2025년 기준 금액 | 설명 |
---|---|---|
1일 상한액 | 88,000원 | 하루 지급액이 아무리 높아도 88,000원을 넘지 않음 |
1일 하한액 | 77,120원 | 하루 지급액이 아무리 적어도 77,120원 이하로 내려가지 않음 (2025년 최저임금 11,280원 × 8시간 기준) |
실업급여 계산 예시
직접 계산해보면 더 명확합니다.
예시1 : 퇴직 전 평균임금이 하루 120,000원일 경우
120,000원 × 60% = 72,000원이 1일 실업급여가 됩니다.
하지만 하한액이 77,120원이기 때문에 실제 지급액은 77,120원입니다.
예시2 : 퇴직 전 평균임금이 하루 160,000원일 경우
160,000원 × 60% = 96,000원이 계산되지만, 상한액이 88,000원이므로 실제 지급액은 88,000원입니다.
총액은 어떻게 계산되나?
총 실업급여는 1일 금액 × 지급 일수로 계산됩니다.
지급 일수는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구간을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연령 구분 | 고용보험 가입 기간 | 지급 일수 | 비고 |
---|---|---|---|
50세 미만 | 1년 이상 ~ 3년 미만 | 120일 | 최소 기간 수급 시 |
50세 미만 | 3년 이상 ~ 5년 미만 | 150일 | |
50세 미만 | 5년 이상 ~ 10년 미만 | 180일 | |
50세 미만 | 10년 이상 | 210일 | 최대 기간 수급 시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년 이상 ~ 3년 미만 | 180일 | 최소 기간 수급 시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3년 이상 ~ 5년 미만 | 210일 |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40일 |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0년 이상 | 270일 | 최대 기간 수급 시 |
예를 들어 50세 미만 근로자가 하루 실업급여 88,000원을 받고, 지급일수가 120일이라면
88,000원 × 120일 = 10,560,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실업급여는 이렇게 본인의 급여 수준과 구직 기간에 따라 크게 달라지니, 꼭 직접 계산해보시길 권합니다.
혹시 계산이 어렵다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활용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제 실업급여 얼마 받을 수 있는지, 확실히 감이 오시죠?